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Make your data chart, easily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Make your data chart, easily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82)
    • 머신러닝 (20)
    • 대쉬보드 (2)
    • 다독다독 (22)
    • 마연굴 (10)
    • 파이썬 (9)
    • 초초기 스타트업의 데이터분석 (2)
    • 통계 (3)
    • Tool (6)
    • 블록체인 (3)
    • GPT (2)
    • 육아 (1)
    • 객체지향 (2)
  • 방명록

분류 전체보기 (82)
[tensorflow] MNIST Data 설명

김성훈 교수님의 모두를 위한 딥러닝 강의를 들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가 MNIST 이다. 따라서 해당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 (이미지 출처 : https://www.tensorflow.org/get_started/mnist/beginners) https://www.tensorflow.org 에 이에 대한 설명이 친절하게 나와있다. (https://www.tensorflow.org/get_started/mnist/beginners) (https://www.tensorflow.org/get_started/mnist/pros) 첫 부분에 Programming 에는 Helloworld 가 있듯이, Machine learning 에는 MNIST 가 있다! 라는 말에 귀여움이 느껴진다. 실제 MN..

머신러닝 2017. 11. 22. 02:46
소프트맥스(SoftMax)

머신러닝 김성훈 교수님 강의를 들으며 많이 사용했던 소프트맥스. 개념이 헷갈려 정리해본다. 소프트맥스(SoftMax) 는 입력값을 가지고 해당 식을 바탕으로 출력값으로 0~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낸다. 그 출력값의 총합은 항상 1이 되는 특성을 가진다. 가장 큰 출력값을 부여받은 항목이 가장 큰 확률을 가진다. 예를 들어, [1 , 1, 2] 를 입력 시, 그 출력값은 반올림 하여 [0.2, 0.2, 0.6] 이다. 해당 식 아래와 같이 파이썬으로 구현해보았다. 출력이 [0.25, 0.25, 0.5]가 아닌 [0.2, 0.2, 0.6] 가 되는 이유는 의 특성 때문이다. 입력값이 클수록 기울기가 증가한다. 그래프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. SoftMax의 출력값을 가지고 One hot encoding 을 해..

머신러닝 2017. 11. 22. 02:44
이전 1 ··· 8 9 10 11 다음
이전 다음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  • 마연굴
  • 원계열
  • 프로그래스바 표시
  • 내 연금조회
  • M1M2비율
  • 객사오
  • 통화량 데이타
  • 주소를 위경도 변환
  • ChatGPT
  • 김성일 작가님
  • pandas apply
  • Dash.html
  • 연금등록
  • 리치고
  • 위경도변환
  • 환율데이터
  • 연금저축
  • 계정조정계열
  • 블록해쉬구현
  • dash
  • 리치고 주식
  • 블록해쉬
  •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
  • Dash 와 html 차이
  • 말잔
  • Forgiving
  • M1/M2
  • 환율이평선
  • 환매시점
  • 경제주체별 M2
more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