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연굴
환헤지 vs 환노출(TIGER S&P 500 비교)(1)
느린 개미
2022. 9. 7. 05:06
반응형
ETF 상품 중 환헤지 vs 환노출 중 어느 상품이 유리할 것인가,,
를 공부해보고 있다.
환헤지 | 환노출 | |
장점 | 환율에 대한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아도됨. | 환율 상승만큼 주가하락을 상쇄시켜줌 |
단점 | 비용발생 (보통 환헤지 비용은 0.4~0.5%, 즉 1억이면 4~50만원) |
환율 변동성에 그대로 영향 받음 |
ETF 로는 아래 두 상품을 살펴보도록 하겠다.
TIGER 미국 S&P500 선물(H) (143850) |
TIGER 미국 S&P 500 (360750) |
|
환헤지
|
환노출
|
|
시가총액 |
4041억원
|
1조 8,597억원
|
상장주식수 |
8,700,000
|
137,550,000
|
52주최고|최저
|
56,280 l 42,930
|
14,460 l 11,895
|
기초지수
|
S&P 500 Futures Index(ER)
|
S&P 500
|
유형
|
해외주식형, 시장대표
|
해외주식형, 시장대표
|
상장일
|
2011년 07월 18일
|
2020년 08월 07일
|
펀드보수
|
연0.300%
|
연0.070%
|
자산운용사
|
미래에셋자산운용
|
미래에셋자산운용 |
NAV
|
46,470
|
13,524
|
정보확인
(금융투자협회) |
||
시세추이
|
http://data.krx.co.kr/contents/MDC/MDI/mdiLoader/index.cmd?menuId=MDC0201030105
|
TIGER 미국 S&P 500(360750) 의 상장이 최근 2020년에 되었음에도 불구하고,
시가총액이 약 5배 높다는게 주목할만한 점이다.
또, 환노출 상품인 TIGER 미국 S&P 500(360750) 이 펀드 보수가 1/3 정도이다.
다음글에서는 환율과 위의 2개 시세추이를 가지고 데이터를 분석해보도록 하겠다.
반응형